녹색연합은 세계 산의 해를 맞이하여 백두대간 전구간 등산로의 훼손실태를 조사해왔다. 2001년 1월∼2002년 3월까지 15개월에 걸쳐 백두대간 전구간 등산로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백두대간 전구간의 산림생태계 훼손을 확인하였다. 1990년대 이후 백두대간이 일반인에게 알려지면서 휴양이나 등산을 목적으로 백두대간을 찾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백두대간을 찾는 등산객의 증가는 등산로와 주변의 산림생태계 훼손원인으로 백두대간 산림생태계 보존에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였다.

[img:20020404_bakdu01.jpg,align=left,width=225,height=300,vspace=5,hspace=10,border=1]백두대간 등산로는 정상부를 따라 진행되어 산 정상을 오르내리기 때문에 경사도도 크고, 바람이 강하고, 기온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식물의 발육이 활발하지 못하다. 따라서 다른 지역의 등산로보다 백두대간은 이용객들의 발에 밟혀 식물들이 쉽게 죽고 맨땅이 드러나고 있다. 백두대간 전구간(지리산 천왕봉∼진부령) 등산로(670km)의 훼손실태를 총2847개의 조사지점에서 확인한 결과, 식물이 죽고 맨땅이 드러난 면적이 540,772.4㎡로 축구경기장 75배 넓이에 해당된다. 이는 등산로가 백두대간에 축구장 75배 넓이의 산림생태계를 훼손시킨 것을 의미한다. 또한 등산로의 맨땅이 드러나고 토양이 유실된 총량은 104636.6㎥로 이는 10톤 트럭 1만3천대 분량인 13만 톤에 해당하는 토양이 유실된 것을 나타낸다.

특히 백두대간에는 지리산, 덕유산, 속리산, 월악산, 소백산, 오대산, 설악산 7개소의 국립공원이 포함되어있다. 지리산국립공원 경우 다년간 탐방객수가 300만 명 선에 이른다. 이는 하루평균 9천 명의 탐방객이 지리산을 찾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리산국립공원은 다년간 과도한 탐방객의 이용활동으로 각 구간의 침식이 매우 심화되었다. 등산로의 넓이가 최대 6m에 이르고, 훼손이 심한 등산로의 경우 터널형으로 1m이상의 토양이 씻겨 내려가 국립공원 우수한 산림생태계와 생태적·경관적 가치와 희귀성을 지닌 아고산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다.        

[img:20020404_bakdu02.jpg,align=right,width=225,height=300,vspace=5,hspace=10,border=1]이처럼 백두대간은 인간의 과도한 이용으로 인해 심각한 산림생태계 훼손에 직면해 있으나, 백두대간 전구간 중에서 훼손등산로의 정기적으로 복구·복원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은 일부국립공원에 한정되어 백두대간 전구간의 15%(98.9km)에 그치고 있다. 그나마 국립공원 지역을 제외한 등산로는 훼손이 그대로 방치되어 지속적인 산림생태계 훼손과 토양유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백두대간은 10년 전 만해도 한 사람이 걸어다니는 것도 불편할 만큼 울창한 산림생태계를 간직해 왔다. 그러나 1990년부터 급격히 증가한 백두대간 이용활동은 겨우 10년이 지난 지금 백두대간을 한번에 2-3명의 등산객이 지나다닐 만큼 넓은 등산로로 만들었다. 이는 백두대간 이용 등산객 수의 증가와 등산객들의 무분별한 야영과 취사활동, 고산지역의 환경적 취약성이 맞물려 발생한 등산로 훼손이 초기시점에 복구·복원되지 않고 방치된 결과이다. 한반도 산림생태계 보고 백두대간이 정부의 관리의식 부재와 탁상행정으로 훼손되고 있는 것이다.  

2002는 유엔이 정한 세계 산의 해로 산림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있다. 백두대간은 지리산 천왕봉부터 진부령까지 이어진 국토의 중심축으로 한반도 자연생태계의 핵심이 되는 지역이다. 그러나 환경부나 산림청은 백두대간 산림생태계 훼손의 주범이 되는 등산로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있다.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이를 뒷받침하는 백두대간 등산로 훼손 현황에 대한 정확한 실태진단이 필요하다. 백두대간 등산로 정밀조사로 훼손등산로를 파악하고 초기훼손 발생 시기에 주변생태계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환경친화적 조기복구·복원을 실시 해야한다. 나아가 백두대간 산림생태계를 훼손을 방지하고 보전하기 위한 철저한 등산로와 등산객 관리대책을 마련해야한다.

어느덧 식목일이 앞으로 다가왔다. 환경부와 산림청은 새롭게 나무를 심는 것만큼이나, 이미 우리에게 주어진 백두대간 산림생태계를 지키고 보전하는데 책임을 다하고 관리대책을 마련해야한다.【사이버 녹색연합】[img:20020404_bakdu03.jpg,align=left,width=500,height=375,vspace=5,hspace=10,border=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