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eet |
한북정맥 환경탐사를 진행한 지 벌써 반년이 넘어가고, 이제는 해를 넘기며 한북정맥 줄기를 이어가게 된다. 그런 중요하고 의미있는 12월인데! 바깥에서의 야영은 매력적이기도 하지만 부담이 되나 보다. 게다가 바쁜 연말이기도 하고. 그래서인지 이번 환경탐사는 열손가락을 넘지 못하고 달랑 일곱 명이다. 다른 때 지속적으로 오던 녹색친구들도 이번에는 몇 명 빠지고... 그래도, 오붓한 게 더 좋다 뭐! 더 재미나게 야영하고, 더 신나게 산행하고, 더 진지하게 마룻금 탐사를 진행할테다!ㅎㅎ
이번 야영은 지난 6차에 떨어진 큰넓고개 근처 마을 원두막 옆에서 한다. 겨울이라 작물이 없어서 뭘 키웠는지 모르겠지만 원두막은 제법 넓고 튼튼하다. 원두막에 바람이 들지 않도록 텐트 후라이를 쳤더니 한결 따뜻하다. 먼저 도착한 사람들이 준비한 밥과 라면을 먹고, 제대한 선배 축하해주며 와인으로 분위기도 내고, 내년 녹색친구들 산행에 대해 발전적인 이야기들을 하며 밤을 보냈다.
아침에 일어나니 바깥에는 얼음이 얼었다. 지구온난화라 측정 후 네 번째로 따뜻한 겨울이라는 데도 어쨌거나 겨울이라고 춥기는 춥구나. 오늘 의정부 쪽에서 한 사람이 새벽같이 출발해 큰넓고개에서 로얄컨트리클럽까지 한모둠, 불국산에서 샘내고개를 지내 작은 테미까지 한모둠이 진행하기로 했다. 따뜻하게 챙겨 입고 출발출발!
지난 번 끝난 곳에서 다시 시작한 한북정맥 길 찾기는 처음부터 쉽지 않다. 마을이 생기고, 길이 생기니 산길은 보이지 않고... 오늘은 왠지 지도보다는 오로지 표식만을 의지해 걸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왠지 오늘따라 몸도 무겁다. 늘 무거운 몸이긴 하지만.ㅋㅋ
다시 이어진 길은 좁지도 넓지도 않은 작은 산길이다. 아직 많은 사람이 다니지는 않나 보다. 그리고 어제 잡아 먹혔는지 산비둘기 깃털도, 멧토끼 깃털도 보인다. 잎이 다 지고 죽은 듯 고요한 겨울 숲이지만 나름대로 쫒고 쫒기며 비장하게 살고 있구나 싶다. 산비둘기도, 멧토끼도, 나무껍질 속에서 겨울을 나려는 벌레들도...
멋있는 서어나무를 보니 몸이 좀 가벼워지는 것 같다.^0^ 서어나무랑 같이 몇 백 년은 살아오신 듯한 큰 소나무를 안아 보았다. 큰 줄기 하나가 한 아름이 넘는 소나무. 마음까지 넉넉해진다.
頭山)의 정간룡(正幹龍)이요, 한양으로 들어서는 골짜기이다. 산의 기세가 여기에서 한번 크게 머물렀다가 다시 일어나 도봉산이 되고 또 골짜기를 지나 다시 일어나 삼각산이 되는데, 그 기복이 봉황이 날아오르는 듯하고 용이 뛰어오르는 듯하여 온 정신이 모두 왕성한 지역에 모여 있다. 산천은 사람의 외모와도 같은 것이어서 외모가 좋은 산천은 기색 또한 좋다“쓰여 있다고 한다. 그만큼 중요한 축석령이 지금은 43번 국도로 동강나 있다. 사람이 편하기 위해 도로를 만들 수 있지만 오랜 미래를 바라보고 만드는 길이었으면 한다. 여기저기 생각없이 뚫리는 도로로 백두대간은 8km 마다 동강 나있고, 화천 수피령에서 흘러오는 한북정맥은 이제 산줄기로 보기가 힘들어지고 있다.
글 : 백두대간보전팀 조회은
'활동이야기 > 백두대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남정맥 첫 번째 이야기]전라도의 산줄기를 생명의 발걸음으로 (1) | 2005.01.01 |
---|---|
호남정맥 환경탐사 발대식 (0) | 2004.12.23 |
지도에서 백두대간을 만나자 (0) | 2004.12.08 |
조금 특별한 산행 - "한북정맥환경탐사"를 다녀와서 (0) | 200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