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녹색포럼 “달려라, 녹색운동화” 참가후기

 녹색아카데미/생활·체험       2009. 10. 14. 11:58  l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녹색운동화에 씨앗을 담아 널리 널리 퍼져라!



경제적, 생태적 위기에 놓인 현실을 되돌아보고 그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녹색 삶’이라는 대안을 찾기 위해 고민하는 청년들의 공간 '달려라, 녹색 운동화'가 지난 9월 18일, 성미산 마을에서 열렸다. 청년녹색포럼 ‘달려라, 녹색운동화’는 청년 특유의 상상력과 활발함을 모아 녹색 삶을 위한 대안과 담론을 나누기 위해 만들어졌다. 또, 인생에서 결단의 시기인 청년층의 고민을 대화를 통해 나누고 꿈을 키우는 대화의 공간이기도 하다. 포럼은 크게 ‘녹색 삶’에 대한 전문가의 강의를 들어보는 삼색강좌와 ‘녹색 삶’을 위한 대안의 현장을 직접 만나보는 조별 현장 탐방으로 나누어졌다.


세 가지 시선으로 ‘녹색 삶’을 들여다보자 - 경제, 정치, 사회가 이야기 하는 녹색 삶
[imgleft|091014_001.jpg|320|▲ 녹색 삶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는 참가자와 서형원 의원 |0|0]강수돌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서형원 과천시의회 의원, 정규호 모심과 살림연구소 연구위원이 함께 한 삼색강좌는 경제, 정치, 사회가 이야기 하는 녹색 삶을 나누기 위함이었다. 강 교수는 "기존 경제는 돈과 권력을 추구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생명을 죽이고, 지속가능성이 없으며, 자기만 살고자 한다." 며 현 시대의 위기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이를 극복하려면 돈과 권력에 종속되지 않고 자립해야 한다. 또, 개인주의적 사상이 강해지고 있는 요즘, 나 혼자만의 운동이 아닌 모두가 자발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풀뿌리 운동’이 자연스럽게 성장해야 비로소 녹색 경제를 만들 수 있다" 며 녹색 경제를 만들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이어 서 의원은 “현재 민주주의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없고 소통되지 않는 민주주의”라며 “이의 반대 개념인 '미래적 민주주의'로 바꾸기 위해서는 사람들 스스로가 의사를 결정하고 모든 사람이 할 수 있는 정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현 정치에 대해 설명했다. ‘풀뿌리 정치’ 즉, 자발적이고 참여적인 정치가 바로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정규호 모심과 살림연구소 연구위원의 녹색 사회 이야기가 이어졌다. 정 박사는 “잘 먹고 잘 살기 위해 앞만 보고 달려오다 생태적 기반이 붕괴하고 있고, 일부 정치인들은 민주 없는 민주주의, 속칭 ‘그들만의 리그’를 진행 중이며, 사회 양극화, 세습화 등의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총체적인 위기에 대해서 언급했다. 또한 “이 같은 시대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변두리와 틈새에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변화를 위해서는 작은 거점이 필요하다며 풀뿌리 운동과 녹색 삶을 위한 작은 실천이 아름답고 강력한 것이 없다”며 이야기를 마쳤다.

어제는 머리를 썼다면 오늘은 몸을 쓸 차례! 다음날 ‘녹색 삶’의 현장을 찾아가보는 현장탐방이 4개의 조로 나뉘어, 4가지 주제(사회적 기업, 시민사회 소통, 농업과 도시, 녹색 생활)로 진행됐다.

녹색 삶의 현장 첫 번째! ‘시민 사회의 소통’ - 조선일보 반대 마라톤 전야제(촛불모임 MT)
작년 국민과 소통하려 하지 않는 정부에 대항하여 수많은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학생, 유모차부대, 예비군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가했다.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시민단체가 만들어졌고,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중이다. 삼색강좌에서 풀뿌리 운동이 줄곧 언급되었는데, [imgright|091014_002.jpg|320|▲ 주방에서 촛불단원을 위한 식사를 만들고 있는 다인아빠와 자원봉사자, 지역촛불 |0|0]촛불 시위야 말로 ‘풀뿌리 운동’ 아니겠는가. ‘녹색 삶’의  현장 중에 하나로 찾은 시민사회가 어떻게 소통하고 발전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처음 모둠은 촛불들의 MT 장소인 옥천으로 향했다.

가장 먼저 만나본 시민단체는 다인아빠와 그를 돕는 자원 봉사자들이다. 이들은 촛불 시위 현장에서 밥 차를 운영하며 시민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제공하는데 오늘도 어김없이 촛불 단원을 위해 약 150인분의 식사를 만들고 있었다. 다인아빠는 촛불로 뜨거웠던 작년 6월, 자신의 딸인 다인이에게 지금의 답답한 현실을 물려주기 싫어서 본업을 그만 두고, 밥 차를 끌고 촛불 시위 현장에 나오게 됐다고 한다. 이어서 여러 지역 촛불 모임을 차례대로 찾아갔다. 지역 촛불 모임은 매주 회의를 하고 피켓을 이용한 캠페인과 서명운동을 하는 등, 활발하게 여러 활동을 하고 있었다. 모두들 자신을 희생해가며 부당한 현실에 맞서고 있는, ‘나’를 위해서가 아닌 ‘우리’를 위해 일 하는 모습이 아름다웠다.

녹색 삶의 현장 두 번째! ‘배려와 열정’ - ‘오가니제이션 요리’, ‘Touch 4 Good’
[imgleft|091014_003.jpg|250|▲ Touch 4 Good에서 만든 폐현수막으로 만들어진 가방을 메고 있는 모습 |0|0]두 번째 녹색 삶의 현장은 배려와 이타주의적 행위을 추구하는 경제, 그리고 공동체의 연대와 통합을 우선적 가치로 삼는 경제 단체인 사회적 기업이다. ‘오가니제이션 요리’는 요리 교육, 급식, 카페, 케이터링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는 공동체 회사이다. 그곳에서는 청소년, 다문화이주여성, 여성 가장들, 그 밖에 다른 사회 소회계층이 함께 어울려 요리를 통해 자기 가치를 실현하며 조화롭게 일하고 있다.  ‘Touch 4 Good’ 은 폐현수막을 이용해 가방을 만들고 수익금을 환경재해로 피해를 입은 곳에 기부하는 친환경적인 사회적 기업이다.  소규모 인원, 적은 이윤 등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열정과 신념을 잃지 않고 어려움을 헤쳐 나가고 있는 두 사회적기업의 원동력은 바로 모두가 잘 살 수 있다는 희망이 아닐까?


[imgright|091014_004.jpg|180|▲ 배설물로 비료를 만들기 위한 작업의 일부를 시범 보이고 있다 |0|0]녹색 삶의 현장 세 번째! ‘순환과 농촌’ - 경기도 안산 주말농사학교
안산의 주말농사학교는 농사에 관한 지식을 배우고 실습도 하며 텃밭을 분양하고 있는 도시 속의 농촌이다. 도시화 율이 90%를 넘어선 지금, 도시인들의 삶을 지탱하고 있는 10% 미만의 농촌사회를 도시의 대안으로 언급되면서, 농촌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환경오염, 자연 파괴의 원인을 인간과 자연과의 순환이 끊겼다는 것으로 진단한 주말농사학교의 교장인 안철환 선생은 인간과 자연과의 순환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주말농사학교는 사람의 오줌, 똥을 비료로 만들어 농작물을 가꾼다. 안 선생님이 언급하는 ‘똥’은 더 이상 더럽거나 불쾌한 것이 아닌 인간과 자연의 순환을 위한 촉매제인 것이다.

녹색 삶의 현장 네 번째! ‘풀뿌리 공동체’ - 성미산마을
[imgleft|091014_005.jpg|250|▲ 마을 주민들이 성미산에 걸어 놓은 메세지가 인상적이다 |0|0]마지막으로 네 번째 녹색 삶의 현장은 녹색정치 논의로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가는 공간인 지역공동체, 바로 성미산마을이다. 성미산마을은 성미산을 중심으로 9개 동이 공통된 가치와 이념으로 만든 공간이다. 마을 주민들은 아이들을 위해 유기농 반찬가게를 만들고, 대안 학교인 성미산 학교를 세우기도 했다. 또, 주말이면 여러 강연이나 문화 공연을 하기도 하고 1년에 한번 씩 마을 축제도 열린다. 서로 화합하고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이 현장은 바로 ‘풀뿌리 공동체’의 그 자체였다.




녹색 고민을 하는 청년들의 특별한 공간, ‘달려라 녹색 운동화’
“내일을 준비해야하는 청년의 한 사람으로서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갈등만 해왔어요. 포럼을 통해 비슷한 고민을 가진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녹색 삶의 대안을 알아보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어요”라고 소감을 밝힌 참가자의 말처럼 불안해보였던 첫 모습과는 달리 참가자들은 포럼 기간에 얻은 자신감으로 한층 밝아진 모습이었다. 2박 3일 동안 참가자들은 고민이 자리 잡고 있던 곳에, 고민 대신 꿈, 용기, 행복, 희망, 가능성을 채웠다.

[imgcenter|091014_006.jpg|600|▲ 청년녹색포럼 ‘달려라, 녹색운동화’ 참가자 전체 사진 |0|0]
녹색 담론을 나누고 녹색 삶의 현장을 찾아보는 첫 시도인 녹색 청년포럼 ‘녹색 운동화’. 포럼 기간 동안 몸으로, 마음으로 느낀 현실 위기와 녹색 대안을 잊지 않으며, 참가자들은 씨앗이 되어 각자의 곳에서 꽃을 피울 것을 약속했다. 그 씨앗이 새싹이 되고 새싹이 꽃을 피워, 녹색의 향기가 만발하게 될 세상을 기대해본다.

글 : 윤용환(녹색기자단)